넷플릭스 계정 공유, 동시 접속 & 이용 방법 5분 정리

넷플릭스에서 최근 계정 공유 정책을 강화함녀서 사용자들이 계정을 공유하는 방식과 가격이 조금씩 달라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넷플릭스 계정 공유 방법과 동시접속에 대해서 정리하며 최신정보를 참고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넷플릭스 계정 공유, 동시 접속 & 이용 방법 5분 정리


넷플릭스 계정 공유, 달라진 정책 총정리

예전에는 넷플릭스 계쩡을 친구나 가족과 자유롭게 공유를 할 수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몇 가지 제약이 생겼는데요. 넷플릭스는 계정 소유자가 같은 주소에 거주하는 사람들과만 공유할 수 있다고 규정이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가족이라도 같은 주소에 거주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말과 동일합니다.

다음은 넷플릭스 계정 공유의 기본 규칙입니다.

- 같은 주소에 거주하는 사람들과 공유 가능
- 외부 공유 시 추가 회원 등록 필요 (유료)
- 동일한 인터넷 네트워크 사용 권장
- 계정 소유자의 IP 주소를 기준으로 관리

현재는 PC 제외 모바일 앱이나 TV를 사용할 때 이러한 규칙 적용을 받는데 PC도 조만간 이러한 규칙 적용을 받지 않을 까 생각이 됩니다.

추가 회원 등록 꼭 필요할까?

넷플릭스는 가족 이외의 사람들과 계정을 공유하려면 추가 회원 등록이 필요하다고 명시 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정당한 비용을 지출하면서도 가족 아닌 사람과 계정을 나눌 수가 있습니다.

추가 회원은 비용은 광고형은 4천원이며 광고형이 아닌 경우에는 5천원입니다.

추가 회원 등록이 가능한 요금제는 스탠다드 1명, 프리미엄 2명으로 한 번에 1개의 장치에서만 시청이 가능하며 다운로드도 가능합니다.

추가 회원은 계정 소유자의 기본 주소와 다르게 설정된 장소에서 로그인이 가능하며 독립적인 프로필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여러 기기에서 시청은 제한이 됩니다.


넷플릭스 계정 공유, 동시 접속 & 이용 방법 5분 정리


넷플릭스 동시 접속 몇 명까지 가능할까?

넷플릭스는 요금제에 따라 동시 접속 가능한 기기 수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계정을 여러 명이 함께 사용할 계획이라면 본인의 시청 패턴과 가족 인원수를 고려해서 적절한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요금제별 동시 접속 가능 기기 수

광고형 스탠다드 : 2대
스탠다드 : 2대 + 추가회원 등록시 총 3대
프리미엄 : 4대 + 추가회원 등록시 총 6대

넷플릭스 가족 공유 이용 방법

넷플릭스 가족 공유를 설정하려면 다음 방법을 이용하면 되빈다.

1. 먼저 넷플릭스 계정에 로그인을 합니다.
2. 그리고 가족 구성원의 취향에 맞게 프로필을 5개 생성합니다. 프로필은 개별로 시청기록과 추천 콘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필수입니다.

넷플릭스 계정 공유, 동시 접속 & 이용 방법 5분 정리

3. 가족이 아닌 외부인과 공유하려면 계정 설정에서 추가 회원 구매를 선택하고 초대할 사람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여 초대합니다.
4. 초대받은 사람은 이메일의 링크를 통해 계정을 활성화하고 프로필을 생성하면 됩니다.
5. 모든 설정이 완료가 되면 각자 원한느 기기에서 넷플릭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